9월 18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페이지 정보

본문
오늘은 모든 교우가 함께 모여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을 기리며 순교 정신을 본받고자 다짐하는 날입니다.
하느님을 사랑하여 목숨까지 바친 우리 신앙 선조들을 번제물처럼 받아들이신
하느님께 감사하며, 성인들을 본받아 우리도 제 십자가를 지고
목숨을 바쳐 주님을 따를 수 있는
용기와 힘을 주시기를
청합시다.
9월 18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경축 이동)
▼
http://cc.catholic.or.kr/root_file/church/2016-09-18/신월1동.pdf
우리나라는 18세기 말 이벽을 중심으로 한
몇몇 학자들의 연구로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였습니다.
이들 가운데 이승훈이 1784년 북경에서 ‘베드로’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신앙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마침내 한국 천주교회가 탄생한 것입니다.
선교사의 선교로 시작된 다른 나라들의 교회에 비하면 매우 특이한 일입니다.
그러나 당시 한국 사회는
전통을 중시하던 유교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어, 그리스도교와 크게 충돌하였습니다.
결국 조상 제사에 대한 교회의 반대 등으로 천주교는 박해의 시대를 맞이하였습니다.
신해박해(1791년)를 시작으로 병인박해(1866년)에 이르기까지 일만여 명이 순교하였습니다.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한국 천주교회 200주년’의 해인
1984년 우리나라를 방문하여 이들 순교자들 가운데 한국인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안드레아와
평신도인 정하상 바오로를 비롯한 103명을 시성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9월 26일의 ‘한국 순교 복자 대축일’을 9월 20일로 옮겨 ‘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로 지내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교회는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아직 시성되지 못한 순교자들의 시복 시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